반응형
변수선언
파이썬은 변수선언할 때 타입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주석
주석은 앞에 #를 붙여서 표현한다
세미콜론 ;
문장 끝 세미콜론도 필요 없다
name = "김뫄뫄"
# 변수선언 끝
문자열
파이썬 문자열은 다른 언어처럼 따옴표를 사용한다.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모두 가능하다
- 따옴표 안 따옴표
따옴표 안에 따옴표를 쓰고싶을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문자열이 작은따옴표/큰따옴표를 포함한다면 문자열 전체를 큰따옴표/작은따옴표로 묶기
string1 =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가 들어갈 때"
string2 = '문자열 안에 "큰따옴표"가 들어갈 때'
2. 문자열 앞 따옴표 앞에 백슬래시(\)넣기
string3 = "아니면 이렇게 \"백슬래시\"를 이용하면 같은 따옴표도 넣을 수 있다"
- 여러줄의 문자열
여러줄의 문자열을 출력하거나 저장할 때는 개행문자(\n)를 이용해도 되지만 따옴표를 세 개 사용하면 된다.
print("문자열
여러줄
한줄
두줄") # 에러
print("문자열\n
가능\n
하지만\n
귀찮음")
print("""이렇게
하면
편하다
와우""")
- 문자열 리터럴
문자열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넣을 때는
f"문자열문자열{변수, 표현식}문자열문자열"이렇게 따옴표 앞에 f를 쓰고 안에다가 변수를 넣을 때 중괄호 {}를 사용하면 된다
연산
- 파이썬에서는 ++이나 --같은 단항 증감연산을 할 수 없다. 1을 증가시키고 싶다면 += 1 을 해야 한다.
- 바닥함수(몫)을 구할 때는 (//)를 사용한다
print(7 // 3) # 결과: 2
- 파이썬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처럼 자동형변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문자열과 숫자를 +연산하면 오류가 난다.
괄호
파이썬에서는 함수나 조건문을 쓸 때 괄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른 언어에서는 코드의 가독성을 위해서 들여쓰기를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로 코드의 종속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들여쓰기를 신경써서 해야 한다.
들여쓰기의 칸 수는 일반적으로 4칸을 쓴다. (혹은 2칸) 대부분 tab 사이즈를 space 4칸으로 설정해서 tab으로 들여쓰기를 한다.
def func():
a = 10
return a
print(func())
들여쓰기를 잘못하면 오류가 난다
참고페이지
https://realpython.com/python-f-strings/#multiline-f-strings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 print(i, end='') 개행 없이 한줄로 출력 (0) | 2022.07.07 |
---|---|
파이썬 | 삼항연산자 (0) | 2022.07.01 |
파이썬 | 모듈 패키지 절대경로 상대경로 (0) | 2022.06.26 |
파이썬 | List vs. tuple vs. set vs. dictionary (0) | 2022.06.23 |
파이썬 | 함수의 인자(Arguments)와 매개변수(Parameter)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