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 기초
·
JavaScript
🚀 변수 Variables 1. 주의할점 파일 내 중복이름 불가 대소문자구분 첫글자는 영문, 밑줄(_), 달러기호($)만 가능 function, const와 같은 예약어는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 자바스크립트에서는 camel case 사용 (camel case -> camelCase) 의미가 추측 가능하도록 지어야 하는 이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에 들어가는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유지보수 용이) 2. let, const let 값의 재할당(수정) 가능 선언과 할당 분리 가능 let myName; myName = "홍길동"; const 재할당 불가. 선언시 할당 필수! var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재선언과 재할당이 모두 가능해서 문제가 생길수 있음.. 🚀 함수 Funtion ..
자바스크립트 | 객체 속성 키와 값 배열로 추출하기 Object.keys(), Object.values(), Object.entries()
·
JavaScript
js100제 56번(https://www.notion.so/56-87c0b313da9f485b98347ab80855f4b5)을 풀면서 객체에 들어있는 키와 값을 따로 분리하기 위해서 찾아봤던 내용 Object.keys() 주어진 객체의 속성키들을 문자열 배열로 반환한다 Object.values() 주어진 객체의 속성값들을 배열로 반환한다. Object.entries() 주어진 객체의 속성 [키, 값] 쌍을 배열로 반환한다. nationWidth = { 'korea': 220877, 'Rusia': 17098242, 'China': 9596961, 'France': 543965, 'Japan': 377915, 'England' : 242900, } let countries = Object.keys(nati..
자바스크립트 | 속성 접근자 .(dot notation), [](bracket notation)
·
JavaScript
속성 접근자는 점(.)이나 괄호([]) 표기법으로 객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object.property // dot notation object['property'] // bracket notation const obj = { firstName: 'gildong', lastName: 'hong' } 객체의 속성은 키(이름): 값으로 되어 있고, 각 속성은 콤마로 구분된다. 객체의 값에 접근할 때는 키를 이용하면 되는데 이 때 사용하는 것이 점(.) 혹은 괄호([])이다. console.log(obj.firstName); // gildong console.log(obj['lastName']); // hong //괄호 표기법을 사용할 때는 속성의 이름을 따옴표를 붙여서 문자열 형태로 적어주어야 한다..
자바스크립트 문자열 합치기 + 자동 형변환, 명시적 형변환
·
JavaScript
두 문자열 하나로 합치기 두 문자열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출력하거나 저장하고 싶을때! +를 이용하면 된다. let firstName = "code"; let lastName = "kim"; let name = firstName + lastName; console.log(firstName + lastName) // codekim console.log(name) // codekim console.log("문자열"+1); // 문자열1 마지막처럼 문자열에 숫자를 더하면 숫자가 자동 형변환 되어서 문자열로 합쳐진다. 자바스크립트의 형변환 1. 자동 형변환 console.log("5"+3); //53 console.log(5+"3"); //53 // 문자와 숫자를 +하면 숫자가 문자열로 형변환되어 문자열이 합..
자바스크립트 NaN
·
JavaScript
console.log("nan" - 1); // 결과: NaN // (+ 연산을 하면 nan1이 출력된다.) 이렇게 숫자가 아닌 문자열과 숫자를 연산하려고 하면 발생하는 에러메시지 NaN 무슨뜻일까? 정답은 Not-a-Number라는 뜻이다. NaN에는 어떤 연산을 해도 NaN이 반환된다. 그래서 연산과정에서 NaN이 나오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어떤 값이 NaN인지 알기 위해서는 isNaN(), Number.isNaN()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NaN은 ==나 ===연산자로 비교불가하다!) NaN === NaN; // false // NaN은 비교 연산자( ==, !=, ===, and !==)와 비교하면 어떤 값과도 같지 않다고 나온다. isNaN(NaN); // true Number.isNaN(N..
자바스크립트 null / undefined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에서 '없음'을 나타내는 두 가지 값이 있다. 둘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let name1; // 변수를 선언하면 컴퓨터는 메모리의 빈 공간에 식별자를 할당하고 자동으로 undefined를 저장한다. let name2 = null; //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없음'을 표현하기 위해 대입한 값. console.log(name1); // 결과: undefined console.log(name2); // 결과: null console.log(null == undefined); // 결과: true console.log(null === undefined); // 결과: false /* 동등 연산자(equality operator, ==)로는 어떤 변수가 null인지 undefined인지 판별 불가. ..
자바스크립트 변수선언 const / let / var
·
JavaScript
const myString = '안녕하세요'; console.log(myString); let myName = "JavaScript"; console.log(myName); 또 예제를 보다가.. 왜 위에는 const고 아래는 let일까 같은 문자열인데! 책을 보니 또 거기서는 변수선언을 var로 하고있다!!! 그래서 검색을 해서 알아내보았다~ var var(variable)는 이미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 있다. var d = 1;// 변수 d 선언, 값 1 할당 var d = 2;// d 재선언, 2 할당 d = 3;// d에 3 재할당 이미 변수로 쓰이고 있는 식별자를 또 다시 변수 이름으로 선언이 가능하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ES6부터는 let과 const가 등장했다고 한다. 내가 ..
자바스크립트 세미콜론(;)
·
JavaScript
let myAge = 20; console.log(myAge) // 아래와 같이 콤마(,) 를 사용하여 // 여러 내용을 한번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console.log("제 나이는", myAge, "살입니다.") 자바스크립트 예제들을 확인하며 공부하는데 위와 같이 어떤 구문에는 ;가 붙어있고 어디는 안붙어있었다. 처음에는 변수선언에만 붙이는건가? 싶었는데 다음예제에서는 또 다른식으로 어디만 붙어있길래 전부 지우고 실행, 전부 넣고 실행을 해봤는데 둘다 돌아갔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고 알게된 점. 세미콜론을 내가 적지 않아도 인터프리터가 자동으로 구문 구분시 세미콜론을 붙여준다! 세미콜론 자동삽입(ASI, automatic semicolon insertion)이라는 기능이다. 그 과정을 이해한다면 안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