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 print(i, end='') 개행 없이 한줄로 출력
·
Python
for i in range(5): print(i) # 결과 # 0 # 1 # 2 # 3 # 4 print()는 이렇게 자동 개행이 된다. 개행 없이 붙여서 출력하고 싶으면 for i in range(5): print(i, end='') # 결과 # 01234 이렇게 뒤에 end='' 를 붙여주면 된다. (따옴표 안 공백) 왜냐면 사실 print(i)는 print(i, end='\n')이기 때문이다 for i in range(5): print(i, end=' ') # 결과 # 0 1 2 3 4 따옴표 안에 띄어쓰기를 해주면 \n 대신 띄어쓰기로 구분해서 출력이 된다.
파이썬 | 삼항연산자
·
Python
def is_even(num): if num % 2 == 0: return "짝수 입니다." else: return "짝수가 아닙니다." 위의 파이썬 if-else문을 다른 대부분 언어에서 사용하는 삼항연산자로 바꿔보면 return num % 2 == 0 ? "짝수 입니다." : "짝수가 아닙니다." #File "main.py", line 7 # return num % 2 == 0 ? "짝수 입니다." : "짝수가 아닙니다." # ^ #SyntaxError: invalid syntax #exit status 1 # 이렇게 에러가 난다 파이썬에서는 문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condition] ? [true_value] : [false_value] # 다른 언어 삼항연산 문법 [true_value] if ..
파이썬 | 모듈 패키지 절대경로 상대경로
·
Python
sys.modules 와 sys.path 파이썬이 import 모듈을 찾을 때 순서대로 다음 장소들을 보면서 찾는다. 1. sys.modules: 한번이라도 import된 모듈이 들어있는곳 2. built-in modules: 파이썬 내장모듈(sys모듈은 내장모듈이다) 3. sys.path: 경로가 적혀있는 리스트 sys.path에서도 찾지 못하면 ModuleNotFoundError 에러를 리턴한다. Absolute path와 ralative path 상대경로와 절대경로. 절대경로는 최상위(루트)부터 시작하는 경로이다. 상대경로는 현재위치 기준으로 시작하는 경로이다. .(현재디렉토리), ..(상위디렉토리) 이런 구조에서 달(현재 위치)에서 목성의 칼리스토에 접근하고 싶은 경우 절대경로: /목성/칼리스토(..
파이썬 | List vs. tuple vs. set vs. dictionary
·
Python
Lists Tuples Sets Dictionaries 순서있는 데이터의 집합 순서있는 데이터의 집합 순서없는 데이터 집합 키-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순서없는 데이터의 집합 바뀔 수 있다 바뀌지 않는다 고정값 바뀔수 있다. 중복값이 없다 바뀔수 있다. 키는 중복될 수 없다. [value1, value2] (value1, value2) {value1, value2} {key1: value1, key2: value2} .append()로 맨 뒤에 값 추가 원본변경x - .add()로 값 추가 .update()로 키-값 추가 .pop()주어진 인덱스의 값을 빼서 반환한다. - .pop() 랜덤으로 값을 없앤다 .pop() 특정 값을 없앤다 .sort()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정렬 - 순서가 없어서 정렬될수..
파이썬 | 함수의 인자(Arguments)와 매개변수(Parameter)
·
Python
Positional Arguments 함수는 인수를 매개변수로 받아서 작동한다 순서대로 전해지는 것이 기본적인 형태이다 def only_you(name, pet): print(f"{name}만 {pet} 없어") only_you("정우성", "고양이") # 결과: 정우성만 고양이 없어 Keyword Arguments 함수를 호출하면서 매개변수 이름에 맞추어 인자를 넘기는 방법도 있다. def only_you(name, pet): print(f"{name}만 {pet} 없어") only_you(pet = "고양이", name = "정우성") # 결과: 정우성만 고양이 없어 순서대로 넘겨주는 방식은 순서가 실수로 바뀌는 경우가 있고, 그럴 경우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keyword arguments 방식을 ..
파이썬 기초문법
·
Python
변수선언 파이썬은 변수선언할 때 타입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주석 주석은 앞에 #를 붙여서 표현한다 세미콜론 ; 문장 끝 세미콜론도 필요 없다 name = "김뫄뫄" # 변수선언 끝 문자열 파이썬 문자열은 다른 언어처럼 따옴표를 사용한다.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모두 가능하다 따옴표 안 따옴표 따옴표 안에 따옴표를 쓰고싶을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문자열이 작은따옴표/큰따옴표를 포함한다면 문자열 전체를 큰따옴표/작은따옴표로 묶기 string1 =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가 들어갈 때" string2 = '문자열 안에 "큰따옴표"가 들어갈 때' 2. 문자열 앞 따옴표 앞에 백슬래시(\)넣기 string3 = "아니면 이렇게 \"백슬래시\"를 이용하면 같은 따옴표도 넣을 수 있다" 여러줄의 문자열 여..
반응형